KPI. 핵심성과지표.
"요약 KPI는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핵심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요소들에 대한 성과지표를 말한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00442&cid=43665&categoryId=43665)
1. 평가라는 것은 참 어려운 것 같다. 결국엔 결과를 가지고 평가를 하게 되지만, 결과에 이르기까지 과정이란게 있고 또 배경이란게 있다. 그래서 실제로 우리는 살아오면서 많은 평가를 받고(어릴적 동네 평판부터 학창시절 시험, 기업에 들어가 평가, 사회에서의 돈/재산 등) 이는 당연히 불합리한 면도 많다.
1.1 하지만 나는 평가의 불합리함이 문제라기보다는, 불합리한 평가로 인해 목적이 산으로 가는 것이 가장 문제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 승진평가 시즌에만 열심히하거나 온순해지는 사람을 볼 수있다. 이러한 예는 매우 가벼운(?) 수준이지만, 사회 전반적으로 비효율을 낳는 상황도 존재한다. 대표적인 것이 수능이다. 수능이라는 1번의 시험으로 사람의 수학능력을 평가한다는 그 자체도 맞는말은 아니고(그렇다고 내신/수시 제도가 공정하다는 말은 아님. 모든 제도에는 주관적요소와 부작용이 있다.) 또 그러한 제도로 인해 점수를 잘 받는 것에만 치중이 되어 기능적인 면에 치중이 되거나, 점점 수험자들의 수준이 올라가 분별력을 기르기 위해 어려운 문제들이 많이 등장하게되면서 이것이 또 수학능력에 중점이아닌 점수를 잘 받기 위한 비핵심 경쟁을 일으켜 사회 전체적으로 낭비 비용이 커지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한다.
2. 이제는 학생이 아니지만 인생을 관리하기 위해 매년단위로 목표를 세우고, 적어도 반기단위로 평가를 진행하며 수시로 일기를 작성한다. 처음에는 단순히 새해가 되면 목표를 적고 목표의 진행정도와 결과만을 피드백했었지만, 지표화의 필요성을 느꼈다. 지표화되지않은 것은 장기적으로 관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게 기업에서 사용하는 KPI를 도입하게 되었다.
2.1 굳이 KPI를 참고해서 도입한 이유는 앞에서 말했듯 단순한 결과만 목표로 행하게 될 경우 최종 목표를 잊고 단기 목표에만 집착하여 목적이 산으로가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예를 들어 "책 1달에 1권읽기"가 올해 목표라면 이루기는 쉽다. 어떤 책이라도 상관없고, 단순히 읽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책을 읽었다면 얻는게 있어야하고 10권의 그냥 지나가는 책보다 한 권의 여러 번 읽게되는 책이 더 가치있는 법이다. 그래서 KPI가 도입되어야 하고 이 세부요소를 설정해야한다.
2.2 여기서 내 KPI를 관리함에 있어서 세부 요소를 정하는데 다소 어려움을 겪고 다시 단순 목표설정으로 돌아오기도 했다. 주관적인 것을 스스로 평가한다는 것이 정확치 않다는 것을 알기에(나중에 가서 정신승리적 피드백을 할 것 같아서) 의미가없다고 생각하기도 했다. 그렇다고 수치화 할 수 있는 지표만이 객관적이지도 않다. XX년까지 현금 XX원의 목표는 그 시기가 되서 의미가 없는 금액일 수도 있다.(시골의사 박경철 : 부자란 누구인가? 더 이상 돈을 벌려고 하지 않는 상태에 있는 사람. 나에게 부자란 어떠한 선택에 돈이 가장 크게 해결해야 할 상황이 되지 않은 상태.)
3. 그러다가 우연히 "조승연의 탐구생활" Q&A에서 힌트를 얻었다. 그는 삶의 목표를 자유(시간적, 공간적)라는 단어로 압축하고 그의 커리어와 다른 것들을 꿈에 정렬하여 살아간다는 것이다. 맞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3.1 직장을 '돈 벌려고' 다닌다는 것은 꿈에 정렬되지 않은 삶이다. 행복한 가정을 이루기 위해 고정 수입을 필요로 하여 돈을 벌기위해 직장을 다니는 것은 조금 더 그럴듯한 느낌이 나지만 시원하게 정렬된 삶이 아니다. 직장을 때려치자는 말은 아니다. 그렇다고 이제와서 반대로 직장에 의미를 강제로 부여해서 살아가기엔 직장이 그렇게 호락호락한 곳은 아닐 것이다.
3.2 그렇다면 늦지 않았다. 지금이라도 인생의 목표에 정렬되는 살아가기 위해 인생의 목표를 정해야 한다. 단순한 "행복"은 목표가 아니다. 좋은 목표 설정에 관한 팁이 있다. 그리고 목표 설정을 진지하게 해보면 알겠지만, 하나의 명사로 정의되지 않을 것이다. "조승연의 탐구생활"에서 '자유'라고 명사로 함축했지만, 실제로 그는 일하고 싶을 때 일하고 다른 사람이 시키더라도 자기 결정권을 갖는 시간적 자유라고 말했다.
3.3 그렇게 동사적 인생 목표가 설정된다면 현재 삶에서 이를 정렬하는 방식으로 삶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인생의 목표를 세우는 법
대다수의 사람들은 미래에 무엇이 되고 싶다, 무엇을 갖고 싶다 같은 인생의 꿈이 있다. 최소한 모든 사람들은 인생에서 얻고 싶어하는 흥미나 가치 같은 것을 갖고 있다. 그렇지만 그것을 위해
ko.wikihow.com
'생각들 > Mind Set, Id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인지, Planning, 방법론 (0) | 2022.06.06 |
---|---|
효율성의 중요성 (0) | 2022.05.05 |
시스템 (0) | 2022.03.11 |
정보전달 매체의 진화? (0) | 2022.03.11 |
그루브 (0) | 2022.02.26 |